유휴공간 문화재생 활성화

시대 변화에 따라 우리 주변에 다양한 형태로 발생 된 유휴공간을 잃어버린 공간의 흔적을 되살피고
그 문화적 가치에 기반을 둔 지역주민의 문화공간으로 재가치화할 수 있도록
유휴공간 문화재생 활성화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사업목적

  • 지역 내 장소적 가치와 의미가 있는 유휴공간을 문화적·도시적·환경친화적인 문화재생의 목적에 맞도록 체계적인 조성(리모델링)과 운영 지원

사업방향

    • 유휴공간 문화재생 공간·운영 전문가 지원으로 효율적인 조성사업 추진 마련
    • 유휴공간 문화재생 연구,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해 공공문화공간(유휴공간) 데이터 구축
    • 유휴공간 문화재생 통합홍보 지원으로 주민 이용성 확대
    • 유휴공간 문화재생 운영시설 간 네트워크 지원으로 지속운영 방안 모색

사업내용

    • 조성추진지원 조성대상공간 현장점검 및 전문가 자문, 전담인력 공유워크숍 등 지원
    • 운영 활성화 조성완료공간 대상 통합홍보(홍보물·SNS 등), 정보교류, 네트워킹 지원
    • 연구·조사 실태조사, 만족도조사, 국내외사례조사 등 유휴공간 연구·조사 운영

사업대상현황 (2023년 3월 기준)

조성 추진 중 시설(사업착수연도) 권역 운영 중 시설(사업착수연도)
서울·인천 ㆍ강화폐교(2020) ㆍ소야도폐교(2021)
ㆍ부천 까치울부대(2021)
ㆍ연천 벽돌공장(2021)
경기권 ㆍ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 (2014)
ㆍ시흥문화발전소 창공 (2014)
ㆍ부천아트벙커B39 (2014)
ㆍ안산시산업단지 근로자복지관(2014)
ㆍ캠프그리브스(2015)
ㆍ경기상상캠퍼스(2016) ㆍ고색뉴지엄(2016)
ㆍ맑은물상상누리 (2020) ㆍ매향리 쿠니사격장 (2021)
ㆍ속초 대포정수장(2022)
ㆍ원주 아카데미극장(2023)
강원권 ㆍ갤러리 온 팩토리(2014)
ㆍ무릉별유천지 (2019) ㆍ천년 삼척 아트피아 (2019)
ㆍ세종 연동면사무소(2021)
ㆍ장항 폐역사(2021)
ㆍ논산 가야곡면센터(2023)
충청권 ㆍ동부창고(2014) ㆍ조치원문화정원(2017)
ㆍ조치원 1927(2018) ㆍ연산문화창고(2019)
ㆍ판교 현암갤러리(2020)
ㆍ장흥교도소(2020)
ㆍ광주 상무소각장(2021)
ㆍ무안고등학교(2021)
ㆍ나주극장(2022)
ㆍ곡성 입면장터(2022)
전라권 ㆍ소촌아트팩토리(2014)
ㆍ담빛예술창고(2014)
ㆍ나주나빌레라문화센터 (2014)
ㆍ삼례책마을(2015) ㆍ복합문화지구 누에(2015)
ㆍ팔복예술공장(2016) ㆍ해동문화예술촌(2016)
ㆍ광양예술창고(2017) ㆍ남원아트센터(2017)
ㆍ순화문화창고(2020) ㆍ나주정미소(2021)
ㆍ섬진강 침곡역(2022) ㆍ전주 옛원예공판장(2022)
ㆍ양산 어곡초등학교(2021)
ㆍ의성 성냥공장(2021)
ㆍ대구 수성 갤러리(2022)
경상권 ㆍ문화대장간 풀무(2014) ㆍ148아트스퀘어(2015)
ㆍ수창청춘맨숀(2016) ㆍF1963(2017)
ㆍ장생포문화창고 (A-FACTORY)(2018)
ㆍ우도 담수화시설(2022)
ㆍ제주 아카데미극장(2023)
제주권 ㆍ예술공간 이아(2015)

문의처

부서 전략기획팀

연락처 02-2623-3113(연구ㆍ홍보), 3118(조성촉진지원ㆍ해외사례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