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생활문화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 재공모 1차 서류심의 결과 안내

  • 2023-05-24
  • 2890 view
 

  2023 생활문화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 재공모에 관심 가지고 지원해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립니다.

 1차 서류심사 결과 총 19개 주관처가 선정되었습니다. 1차 서류심사에 선정된 주관처는 2차 심사(비대면 인터뷰)에
필수 참석하여야 하며, 2차 심사와 관련하여 자세한 안내 사항은 개별 연락드리겠습니다. 

 본 사업에 많은 관심 가져주셔서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  심의개요
○  심 의 명 : 2023 생활문화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 재공모 1차 서류심의
○  심사일시 : 2023. 5. 23.(화) 14:00
○  심의방법 : 지원신청 검토 및 논의를 통한 선정

 
■  심의결과
○ 선정결과: 총 19개 단체 선정
○ 심사총평 
 
 1. 지난 3월에 진행된 <2023 생활문화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 공모심의는 지원신청 총 150건 중 서류심의 43건, 최종 선정 21팀으로 결정되었습니다. 
   당초 30건 내외로 선정하기로 한 본래의 계획에도 불구하고, 21건 선정에 그친 것은 2023년 변화된 사업에 대한 이해가 충분치 않았기 때문이라고 보고 추가 공모를 진행하기로 하였습니다.

2. 우리 사회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삶의 방식이 점점 복잡해짐에 따라, 다정한 이웃과의 만남과
공동체적 돌봄과 지지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우리 사회 저변의 욕구가 생활문화공동체 사업에 대한 꾸준한 관심으로 연결되었다고 봅니다.
2023년 생활문화공동체는 마을과 골목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공동체들이 상호 협력하고 연결되는 확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교육, 체험, 마켓, 축제 중심의 사업보다는 공동체의 자기 주도성, 당사자 활동의 활성화, 성장, 연결을 중심으로 선정하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동체 주체의 성장을 담보하지 않은 채 기획그룹이나 예술가 그룹의 활동에 그치는 경우는 선정에서 배제되었습니다.

3. 이번 재공모 심의는 총 54건이 접수되었으며, 1차 서류심의에는 총 19건이 선정되었습니다.
최종 선정단체 건수 10건의 약 2배수로 선정이 되었으며, 인터뷰 심사를 통해 최종 선정을 할 예정입니다.

4. 단일 공동체가 아닌 공동체 간의 협력을 통해 일상을 확장하고 다양성을 포용하고자하는 2023년 생활문화공동체 사업을 통해 진화하는 생활문화공동체를 응원합니다.

■  2차 인터뷰 심의 안내
○ 심 사 명: 2023 생활문화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 재공모 2차 인터뷰 심의
○ 심사일시: 2023. 5. 26.(금) 10:30 ~ 18:00
○ 심사장소: 비대면 온라인 심의(Zoom)
○ 심의대상: 총 19건
○ 심사방법: 사업계획서 발표 및 질의응답을 통한 최종 선정
○ 세부내용
(인터뷰 심의 세부사항)
참석인원 제한: 총 3명(주관처 1명, 협력단체 2명)  * 협력단체 2팀 이상일 경우, 일부 선택 참여

심의시간: 총 15분(발표 3~5분, 질의응답 10분 이내)
  * 각 발표/질의응답 시간 엄수(시간 초과 시 음소거 처리)
  * 인터넷 불안정에 따른 지연의 경우, (진흥원) 심의시간 추가연장 / (주관처) 심의시간 추가연장 없음


발표자료: 별도 양식 없음(사업신청서를 토대로 발표 예정)
 
■  문의
○ 문의처: 지역문화진흥원 생활문화팀 02-2623-3104, 3132
 
붙임  2023 생활문화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 재공모 1차 서류심의 선정결과
  
구분 지역 단체명 프로그램 명
1 서울 금천구 산아래문화학교 2023 생활문화공동체 활성화지원사업 재공모
2 서울 마포구 우리동네나무그늘협동조합 2023 생활문화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
3 부산 북구 지팡이사회적협동조합 만덕 생활문화공동체 활성화 프로젝트
‘어울락(樂)’
4 광주 광산구 수페그린협동조합 2023 생활문화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 재공모
5 광주 북구 북구레크테이너 건양신 우리는 하나!
6 대전 서구 문화기획 INF4 문화 네트워크 공동체 연결IN
7 경기 가평군 금은보화 모두의 인터미션
8 경기 성남시 재미(在美) 2023 생활문화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
9 경기 성남시 태평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 언덕길 따라 피는 태평 생활문화
10 경기 수원시 수원문화원 생활문화로 다시 시작하는 자원순환마을 프로젝트 "리-향교로"
11 경기 안산시 생활관 문화생활장: 로컬커뮤니티
12 경기 양평군 큰꿈교육사회적협동조합 마을이 가장 좋은 학교다
13 경기 용인시 (주)케이아트팩토리 용인을 보라 : 청년잇다
14 강원 원주시 강원문화발전소 중앙동 생활문화 친구 ‘It’기 프로젝트
15 전남 완도군 청산도의미래 협동조합 청산도, 생활문화공동체
16 경남 김해시 (사)김해시도시재생지원센터 오! 다시 살아나는 김해 다어울림 생활문화평야 1번지
17 경남 사천시 사천거북선농촌체험휴양마을  2023 생활문화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 
- 우리함께 용현함께
18 경남 진주시 지역문화콘텐츠연구소 사회적협동조합 상대동의 다문화 이야기를 담은 에세이 ‘상대성이론’
19 경북 영천시 나다움 놀이터 문화를 꽃피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