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한 문화 매개인력을 발굴·교육함으로서, 지역 내 문화사업 발굴 및 주민커뮤니티 활성화를 통한 자생적 주민공동체 및 문화커뮤니티를 만들어가고자 합니다.
문화이모작 사업은 일상 속 마을 문화리더와 문화공동체 활동을 지원함으로서, 주민들이 함께 마을의 문화생태계를 만들어가고, 탐색하는 학습과정을 지원하고자 합니다.
사업기간 | 2019년 4월 ~ 2019년 12월 |
---|---|
사업대상 | 농산어촌, 도농지역 예비 문화리더 (마을 이장, 부녀회장, 청년회장, 귀농/귀촌인 그룹 등) |
사업내용 |
마을 주민공동체 문화 매개인력 발굴 및 문화공동체 형성지원
|
공모기간 | 2019년 4월 |
‘2010년 농어촌 마을 문화심기 시범사업’으로 시작된 문화이모작 사업은 ‘농어촌 구석구석, 촘촘히 스미는 문화물결’이라는 비전아래 1,334명의 문화매개자 양성 및 23,300여명의 주민이 함께하였습니다.
< 연도별 실적 >연도 | 교육생수 | 지원규모 | 실습사업수 | 주민참여자수 |
---|---|---|---|---|
2018 | 104명 | 8,800만원 | 20개 | 9,333명 |
2017 | 99명 | 6,800만원 | 22개 | 1,788명 |
2016 | 140명 | 8,500만원 | 18개 | 7,304명 |
2015 | 143명 | 9,000만원 | 18개 | 1,912명 |
2014 | 142명 | 8,400만원 | 18개 | 2,170명 |
2013 | 148명 | 8,700만원 | 18개 | 1,268명 |
![]() |
2013년, 경남 거창군 웅양면 한기리에 귀농귀촌한 ‘김훈규(현 하성단노을생활문화센터 사무국장)씨’는 문화이모작 사업을 통해 마을의 폐교(구 하성초등학교)에서 ‘할매, 할배 학교 갑시다!’라는 제목으로 주민들과 함께 백일장과 마을축제를 개최하였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기반으로 마을 폐교는 생활문화센터에 선정되어 주민들의 생활문화공간인 하성단노을생활문화센터로 변화를 꾀하였으며, 당시 문화이모작 사업에 참여한 김훈규씨는 이 생활문화센터의 사무국장으로서, 마을활동가이자, 지역의 문화기획자로 활발히 활동 중에 있습니다. |
교육생 모집
및 선정
교육 및 실습마을
선정
실습
성과공유회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 시 정보 통신망 법에 의해 형사 처벌 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 2016년 10월 12일
고객 여러분의 지역문화진흥원 사이트 방문에 감사 드립니다. 이 사이트를 통해 지역문화진흥원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됨을 매우 기쁘게 생각하며,이 사이트 및 기타 지역문화진흥원 관련 사이트들에 대해 방문자 여러분들께 몇 가지 법적 제한과 금지 사항을 알려 드리고자 합니다.
고객님께서는 지역문화진흥원 사이트의 정보를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하시거나 고객의 컴퓨터에 저장하실 수 있습니다. 고객의 개인적인 홈페이지나 문서로부터 본 서버로의 링크 등은 가능합니다. 그러나 본 사이트는 지역문화진흥원의 독점적 소유의 정보자산입니다. 지역문화진흥원은 이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하여 자금, 시간 및 노력을 투입하였습니다. 이러한 자산들은 저작권, 상표권, 기술에 대한 정보에만 국한되지는 않습니다. 지역문화진흥원에 소유권이 있는 정보자산들은 문자, 그림, 음성, 화상, 내려 받기 파일, 링크 및 소스 코드들(이하 ‘서비스와 자료들’)의 형태로 제공됩니다. 지역문화진흥원은 이러한 서비스와 자료들에 대한 모든 권리를 소유합니다. 지역문화진흥원은 본 사이트에서 고객들께 제공되는 서비스와 자료들에 대하여 고객들에게 지적인 재산권을 부여한 것은 아닙니다.
지역문화진흥원은 이 사이트 및 다른 관련 사이트들의 서비스와 자료들 및 기타 정보들에 대한 정확도, 완성도, 신뢰도에 대하여 보장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지역문화진흥원에서 문서로 특별히 조언을 드리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사이트에 포함된 정보를 이익에 관련된 결정상의 참고자료로 의존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서비스와 자료들은 지역문화진흥원에 의한 사실에 기초하여 제공되었습니다. 그리고 지역문화진흥원은 서비스나 자료들에 대한 판매 목적상의 무제한 보증이나 특별한 목적하의 맞추어진 적합성을 포함하여 표현되거나 함축된 어떤 또는 모든 보증을 부인합니다. 서비스와 자료들에 관련된 어떤 종류의 직접적, 간접적, 우발적, 징벌적 또는 필연적인 피해에 관련된 경우에 대하여 지역문화진흥원에서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