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생활문화동호회 활성화 지원
일상 속 문화 참여 확대를 위해 모임 형성, 발표 및 교류, 확장단계별 생활문화동호회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지역 문화주체로서의 성장과 문화공동체 형성을 독려합니다.
사업별 개요
구분 |
생활문화활성화협력지원 |
생활문화 활성화 기획지원 |
일상 속 생활문화네트워크 기획 |
생활문화콘텐츠 개발 |
사업기간 |
2019년 2월 12월(11개월) / 지원사업 운영기간: 5월~11월(7개월) |
사업대상 |
생활문화 협력 네트워크를 만들고자 하는 지역 |
생활문화동호회, 청·장년 어르신, 개인·가족 등 생활문화 애호가 및 모임 등 |
생활문화콘텐츠 개발에 참여할 생활문화 매개자(매개기관), 생활문화인·동호회, 전문가 (전문가 그룹) |
신청자격 |
지역 내 협력 체계 구축과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공공 생활문화 기관 (지역문화재단, 지방문화원, 문화의집, 생활문화센터) |
일상 속 생활문화 네트워크 활동을 기획, 실행할 수 있는 공공 또는 민간 기관·시설·단체 |
지역 내 생활문화인·동호회와 관련 전문가(전문가 그룹) 매칭을 마친 공공 또는 민간 기관·사설·단체 |
지원내용 |
지역 내 생활문화 협의체 구성 및 협력 네트워킹 과정 전반 지원 |
생활문화 참여주체, 활동방식 등을 확장하고 교류하는 활동 지원 |
콘텐츠 개발 및 운영의 전반적인 과정 지원 |
지원규모 |
사업별 20백만원~30백만원/ 20개 내외(총500백만원) |
사업별 5백만원~6백만원/ 40개 내외(총230백만원) |
사업별 10백만원~20백만원/ 10개 내외(총150백만원) |
총880백만원 ※사업별 지원규모는 전체 사업예산 내에서 조정될 수 있음 |
※ 사업별 세부내용은 공지사항의 공모를 참고(2월 중 공고 예정)
추진절차
-
01
사업공모
~2월
(~5월)
-
02
심사
3월
(5월)
-
03
지원금 교부
4월
(6월)
-
04
참여단체
오리엔테이션
4월
(6월)
-
05
사업 운영
4~9월
(6~11월)
-
06
사업정산
~10월
(~12월)
* 기본 상반기 일정이며 괄호는 하반기(예정) 일정입니다.
지난 실적
2014년 시작된 생활권·권역별 생활문화동호회 교류 및 발표 지원으로 누적 지원단체수 249개, 766회의 동호회 발표회,
공연, 전시, 생활문화 체험 등이 열렸습니다. 누적 참여 동호회 6,903팀, 관람객 736,519명이 함께하여 지역을 무대로
일상 속의 문화를 즐기고 나누었습니다.
< 연도별 실적(발표 및 교류 지원) >
연도 |
지원단체수 |
지원규모 |
운영횟수 |
참가규모 |
관객수 |
2018 |
86개 |
1,155,000천원 |
307회 |
동호회 1,840팀 |
70,700명 |
2017 |
56개 |
728,106천원 |
162회 |
동호회 1,450팀 |
665,819명 |
2016 |
55개 |
678,170천원 |
157회 |
동호회 1,364팀 |
54,175명 |
2015 |
45개 |
868,940천원 |
117회 |
동호회 1,586팀 |
415,786명 |
2014 |
7개 |
260,000천원 |
23회 |
동호회 663팀 |
134,105명 |
누적 |
163개 |
2,535,126천원 |
459회 |
동호회 5,063팀 |
동호회 5,063팀 |
사업안내
- 지역 생활문화동호회 활성화 지원 : T.02-2623-3105 M.hsh3639@rcda.or.kr
- 전국생활문화축제/생활문화 정책 도출 및 환류 : T.02-2623-3113 M.miok@rcda.or.kr
전국생활문화축제
2014년부터 시작된 전국생활문화축제의 누적 참가 동호회수는 564팀, 5,475명입니다. 음악, 무용, 미술, 사진 등 다양한 장르의 지역 대표 동호회가 참여하여 다채로운 공연과 전시, 생활문화 체험 프로그램 등을 펼치고 생활문화를 매개로 지역 간 소통하고 교류하였습니다. 2018년 55개의 지역문화재단, 생활문화센터, 문화의집 등 지역문화단체로 구성된 축제 추진단을 구성하여 지역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자발적 문화 활동의 전국적 확산을 도모하였습니다.
시기/장소 |
매년 하반기/지역 |
참여대상 |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지역문화재단, 생활문화동호회, 연합단체, 생활문화센터 등 문화시설 등 |
프로그램 |
생활문화동호회 공연 및 전시, 시민 생활문화 체험 프로그램, 참가자 네트워킹 프로그램 등 |
* 자료실의 2016 ‘문화가 있는 날’ 생활문화동호회 활성화 지원 사업 결과자료집 ‘56개의 생활문화 축제 이야기’(140p~)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실적
2014년부터 시작된 전국생활문화제의 누적 참가 동호회수는 564팀, 5,475명입니다. 음악, 무용, 미술, 사진 등 다양한 장르의 지역 대표 동호회가 참여하여 다채로운 공연과 전시, 생활문화 체험 프로그램 등을 펼치고 생활문화를 매개로 지역 간 소통하고 교류하였습니다. 지역과 협력 추진하여 함께 만드는 축제를 개최하였고, 자발적 문화 활동의 전국적 확산을 도모하였습니다.
< 연도별 추진실적 >
축제명 |
일시 |
장소 |
슬로건 |
참가 규모 |
2018 전국생활문화축제 |
2018.9.14.(금)~9.16.(일) /2박 3일 |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 일대 |
생활문화 여(餘), 기(技), 예(藝) |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147팀, 1,218명 |
2017 전국생활문화축제 |
2017.9.7.(목)~10.(일) /3박 4일 |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 일대 |
두근두근 내안의 예술 |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105팀, 1,004명 |
2016 전국생활문화제 |
2016.10.29.(토)~30.(일) /양일간 |
북서울 꿈의숲 |
나에게 우리를 더하다 |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125팀 1,481명 |
2015 전국생활문화제 |
2015.10..24.(토)~25.(일) /양일간 |
북서울 꿈의숲 |
일상이 이상으로! |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132팀, 1232명 |
2014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축제 |
2014.11.22.(토) 11:00~18:00 |
코엑스 오디토리움 |
우리 안에 숨쉬는 자유를 만나다 |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55팀, 540명 |
누적 |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564팀, 5,475명 |
사업 절차
-
(2월)
축제기본계획
예술감독선임 및
기본계획수립
-
(3월~5월)
축제운영준비
-지역협력구성-
축제추진단구성 및
프로그램 협력구성
-
(5월~8월)
사업계획서 보완
-마스터플랜-
축제추진단
워크숍
-
(9월)
축제 개최
-
(10월)
축제 평가토론회
개최
컨셉 : [즐기다, 흥이나다], [축제의장, 선물상자]
생활문화센터와 동호회 축제의 연결성/일관성을 고려하여 폭죽이 터지는 선물상자의 의미를 형상화 함.
기하학적 삼각 모듈시스템에 따라 설계하여 영상 및 인터랙션 등 디지털 활용 확장성에 가능하도록 함.
2018 전국생활문화제
2018 전국생활문화축제는 <생활문화 여餘. 기技. 예藝>라는 주제로 전국 생활문화인의 화합과 놀이의 장을 만듭니다. ‘참여·교류·확산’이라는 목표 아래,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회원들이 내면의 창조성을 표현하고, 이웃, 공동체와 함께 나누고 즐길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공식홈페이지 바로가기
< 축제개요 >
축제명 |
2018 전국생활문화축제 |
일시 |
2018년 9월 14일(금)~16일(일) |
장소 |
서울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 및 대학로 일대 |
주제 |
문화가 있는 삶, 문화로 바뀌는 일상 |
참여규모 |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140여개팀, 1,200여명 참여 예정 |
프로그램 |
전야제, 개·폐막식, 미니멈 버스킹, 공예·체험, 기획전시회·영상제, 생활문화 뉴웨이브전 등 |
2017 전국생활문화제
‘ 예술 안에 있는 자신을 사랑하지 말고, 자신 안에 있는 예술을 사랑하라.’
러시아의 연출가이자 배우ㆍ연기 이론가였던 콘스탄틴 스타니슬랍스터는 명언을 빌어 2017 전국생활문화축제는 일상 속 내 안의 예술을 만날 때의 두근거림, 우리 안의 예술들이 만났을 때의 두근거림을 주제로, 전국의 생활문화인이 직접 꾸미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습니다.
< 축제개요 >
축제명 |
2017 전국생활문화축제 |
일시 |
2017년 9월 7일(목)~10일(일) 전야제 9월7일~8일 / 개막식 9월9일 |
장소 |
서울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 일대 |
주제 |
문화가 있는 삶, 문화로 바뀌는 일상 |
참여규모 |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105팀, 959명 |
프로그램 |
공식행사, 동호회 공연 및 체험, 기획 및 참가자 교류 프로그램 등 |
<2017 전국생활문화축제 하이라이트 영상>
2016 전국생활문화제
2016 전국생활문화제는 ‘나에게 우리를 더하라’라는 주제 아래
생활문화동호회 활동의 성과들을 발표하고, 다양한 지역과 장르의
동호인들이 서류 교류하고 소통함으로써 생활문화 활동에 있어 함께함의
의미를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되었습니다.
< 축제개요 >
축제명 |
2016 전국생활문화제 |
일시 |
2016년 10월 29일(토)~30(일)/양일간 |
장소 |
북서울꿈의숲(서울 강북구) |
주제 |
나에게 우리를 더하다! |
참여규모 |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125팀, 1,481명 |
프로그램 |
생활문화동호회 공연 및 전시, 시민 생활문화 체험 프로그램, 생활문화동호회 교류 활성화 대회 등 |
추진결과
< 축제개요 >
-
1차 워크숍
지역 대상 추진방향
공유 및 참여 협의
-
동호회 발굴
지역별 동호회
발굴
-
2차 워크숍
권역별
최종 기회
-
참가자 조율
참가 안내 및
조율
-
축제 개최
2016
전국생활문화제 개최
< 참가 동호회 현황 >
구분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기타 |
합계 |
공연 |
4 |
3 |
- |
3 |
3 |
1 |
1 |
- |
37 |
7 |
16 |
- |
4 |
2 |
2 |
- |
- |
- |
83팀 |
전시 |
5 |
1 |
- |
1 |
6 |
- |
- |
- |
7 |
1 |
7 |
- |
14 |
1 |
1 |
10 |
8 |
1 |
63팀 |
합계 |
9 |
4 |
- |
4 |
9 |
1 |
1 |
- |
44 |
8 |
23 |
- |
18 |
3 |
3 |
10 |
8 |
1 |
146팀 |
* 기타 : 전국 단위 온라인 거점 동호회 ‘코카콜라의 아름다운 세상’ 전시
<2016 전국생활문화제 하이라이트 영상>
2015 전국생활문화제
2015 전국생활문화제는 ‘일상이 이상으로’라는 주제 아래 일상과 이상이 연장선상에 있으며 자발적으로 자신의 삶을 가꾸는 생활문화동호인들의 일상의 행복을 전하고, 다양한 지역과 장르의 동호인들과 만나 그 행복을 나누고자 개최되었습니다.
< 축제개요 >
축제명 |
2015 전국생활문화제 |
일시 |
2015년 10월 24일(토)~25(일)/양일간 |
장소 |
북서울꿈의숲(서울 강북구) |
주제 |
일상이 이상으로 |
참여규모 |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132팀, 1,323명 |
프로그램 |
생활문화동호회 공연 및 전시, 시민 생활문화 체험 프로그램, 동호인의 밤, 생활문화토크콘서트 등 |
추진결과
< 추진과정 >
-
1차 워크숍
지역 대상 추진방향
공유 및 참여 협의
-
동호회 발굴
지역별 동호회
발굴
-
2차 워크숍
최종
기획 회의
-
참가자 조율
참가 안내 및
조율
-
축제 개최
2015
전국생활문화제 개최
< 참가 동호회 현황 >
구분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기타 |
합계 |
공연 |
9 |
4 |
4 |
1 |
5 |
- |
2 |
- |
23 |
9 |
5 |
- |
7 |
1 |
1 |
10 |
1 |
- |
82팀 |
전시 |
8 |
- |
- |
- |
3 |
- |
- |
- |
17 |
6 |
2 |
- |
7 |
- |
- |
- |
7 |
- |
50팀 |
합계 |
17 |
4 |
4 |
1 |
8 |
- |
2 |
- |
40 |
15 |
7 |
- |
14 |
1 |
1 |
10 |
8 |
- |
132팀 |
* 기타 : 전국 단위 온라인 거점 동호회 ‘코카콜라의 아름다운 세상’ 전시
<2015 전국생활문화제 하이라이트 영상>
2014 전국생활문화제
2014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축제는 ‘우리 안에 숨쉬는 자유를 만나다!’라는
주제로 전국에서 개최되었던 지역 생활문화동호회 축제를 통해 발굴된
우수 동호회의 주요 활동 성과들을 한 자리에 소개하고 교류하는 자리로
마련되었습니다.
< 축제개요 >
축제명 |
2014 전국생활문화제 |
일시 |
2014년 11월 22일(토) 11:00~18:00 |
장소 |
코엑스 오디토리움 및 로비 |
주제 |
우리 안에 숨쉬는 자유를 만나다 |
참여규모 |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55팀, 540명 |
프로그램 |
생활문화동호회 공연, 전시, 생활문화체험 등 |
추진결과
< 추진과정 >
-
1차 워크숍
지역 대상 추진방향
공유 및 참여 협의
-
동호회 발굴
지역별 동호회
발굴
-
선정 및 참가자 협의
참가 안내 및
협의
-
축제 개최
2014 전국생활문화제
개최
< 참가 동호회 현황 >
구분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기타 |
합계 |
공연 |
5 |
2 |
- |
- |
2 |
2 |
- |
- |
6 |
- |
2 |
- |
1 |
- |
2 |
- |
- |
- |
22팀 |
전시 |
- |
- |
- |
- |
- |
- |
- |
- |
13 |
1 |
14 |
- |
3 |
2 |
- |
- |
- |
- |
33팀 |
합계 |
5 |
2 |
- |
- |
2 |
2 |
- |
- |
19 |
1 |
16 |
- |
4 |
2 |
2 |
- |
- |
- |
55팀 |
<2014 전국생활문화제 하이라이트 영상>
사업안내
- 지역 생활문화동호회 활성화 지원 : T.02-2623-3105 M.hsh3639@rcda.or.kr
- T.02-2623-3113 M.miok@rcda.or.kr
생활문화 정책 도출·환류, 아카이빙
지역 생활문화 현안 발굴 및 모색, 생활문화동호회 실태조사, 성과평가 등을 통해 생활문화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개발하고, 다양한 사례를 발굴·공유합니다. 지역 생활문화 현안 발굴 및 모색, 생활문화동호회 실태조사, 성과평가 등을 통해 생활문화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개발하고, 다양한 사례를 발굴·공유합니다.
지역 순회 생활 문화 토론회 개최
지역을 기반으로 실천적 생활문화 정책수립을 위한 지역별 현안 발굴과 지역 생활문화 협력 발전을 위한 공동 모색의 장 마련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참여대상 |
지역문화재단, 생활문화센터 등 지역 생활문화 관련 기관 담당자, 지역 생활문화 전문가, 지역주민 등 |
추진절차 |
지역 라운드테이블 운영을 통한 현안 발굴 (5~8월) |
지역현안을 토대로 주제 토론회 개최 (9~11월) |
주제 공론화를 위한 대토론회 개최 (12월) |
아카이빙을 위한 결과자료집 제작, 공유 (12월) |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실태조사
생활문화동호회 지원 정책의 객관적 지원 근거 마련과 효과적 지원 방안 모색을 위해 전국 생활문화동호회 실태조사를
실시합니다.
생활문화동호회 활성화 지원 사업 성과평가 연구
생활문화동호회 활성화 지원 사업의 평가와 생활문화 활동의 효과성 평가를 통해 종합 정책 성과와 사업 발전방향을
도출합니다.
생활문화동호회 활성화 지원 사업 아카이빙
지역의 다양한 생활문화동호회 활동 및 교류 사례를 발굴, 공유하여 생활문화의 가치를 알리고 활동의 확산을 도모합니다.
<생활문화동호회 활성화 지원 사업 자료 아카이브>
사업안내
- 지역 생활문화동호회 활성화 지원 : T.02-2623-3105 M.hsh3639@rcda.or.kr
- 전국생활문화축제/생활문화 정책 도출 및 환류 : T.02-2623-3113 M.miok@rc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