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주민 누구나 일상에서 문화를 쉽게 접하고 즐길 수 있는 주민들의 문화공간을 만들어가기 위해 다양한 생활문화센터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문화활동을 하고자 하는 개인, 동호회 등을 위한 연습·발표 공간과 함께 지역 문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주민 커뮤니티공간, 북카페, 공연장 등 지역주민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주민 커뮤니티 공간입니다.
지역 곳곳, 주민 생활권 내 생활문화 거점공간 조성을 통해 주민이 일상속에서 쉽게 문화를 즐기고 나눌 수 있는 활성화 여건을 마련합니다.
생활문화센터가 지역주민을 위한 맞춤형 문화공간으로 조성되고 활발히 운영될 수 있도록 생활문화센터 조성단계부터 운영에 이르기까지 전문가 컨설팅을 지원합니다.
사업기간 | 2020년 1월 ~ 12월 |
---|---|
사업대상 | 2020 생활문화센터 조성 지원 지방자치단체 외 |
지원내용 |
컨설팅분야별 전문가 현장점검 및 컨설팅을 통한 지역맞춤형 공간조성 지원
|
*컨설팅 비용은 지역문화진흥원 부담입니다.
*2020년 이전 지원 시설의 경우, 요청시 수시컨설팅 지원
01
사업계획서 검토
생활문화센터 조성 지원 시설
사업계획서 검토 및 현장방문 대상지 선정
문체부, 지역문화진흥원, 생활문화센터 컨설팅단
02
현장방문 및 컨설팅
시설 현장방문 추진현황 브리핑
분야별 전문가 컨설팅
문체부, 지역문화진흥원, 생활문화센터 컨설팅단, 해당 지자체
03
컨설팅 의견서 전달
컨설팅 의견서 지자체 및 문체부 공유
컨설턴트 → 지역문화진흥원 → 지자체/문체부
01
컨설팅 신청서 공문 제출
지자체 → 지역문화진흥원
02
컨설턴트 매칭 및 컨설팅
(현장 또는 서면) 지역문화진흥원
03
컨설팅 의견서 전달
컨설턴트 → 지역문화진흥원 → 지자체
2014년부터 시작된 생활문화센터 조성·운영 컨설팅으로 누적 컨설팅 프로그램 수 16개이며, 생활문화센터 운영자 통합컨설팅 워크숍, 생활문화센터 모델육성을 위한 집중컨설팅, 생활문화센터 조성 추진 단계 점검을 위한 수시컨설팅 등이 추진되었습니다. 누적 운영횟수는 900회입니다.
연도 | 대상(개) | 컨설팅단(인) | 공간/운영 컨설팅 프로그램 | 운영(회) |
---|---|---|---|---|
2019 | 조성/운영 191 |
10 (공간5, 운영5) |
|
119 |
2018 | 조성/운영 151 |
10 (공간5, 운영5) |
|
55 |
2017 | 조성/운영 146 |
12 (공간6, 운영6) |
|
130 |
2016 | 조성/운영 105 |
12 (공간6, 운영6) |
|
128 |
2015 | 조성/운영 102 |
12 (공간6, 운영6) |
|
290 |
2014 | 조성 34 | 15 (공간5, 운영10) |
|
178 |
생활문화센터가 지역 내 생활문화의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생활문화센터 운영 기반 확충에 초점을 맞춘 밀착형 컨설팅을 진행하여 지역주민 및 지역 수요에 적합한 생활문화시설 조성 및 운영 활성화를 도모하였습니다.
문화를 매개로 주민 주도형 기획 프로그램, 지역 특화 맞춤형 프로그램 등 일상 속에서 생활문화를 확산하며 생활문화센터 공간 운영을 위한 실질적인 기반 마련의 프로그램을 지원합니다.
사업기간 | 2020년 2월 ~ 12월 |
---|---|
사업대상 | 2020년 2월 기준, 개관‧운영 생활문화센터 |
지원내용 |
|
지원규모 | 센터별 7백만원~20백만원 차등지원
|
01
사업공모 및 선정심의
공모를 통한 지원센터 선정
(e나라도움을 통한 지원)
02
사전교육
선정센터 대상
(지원 사업 운영 교육 및
국고보조금 사용 안내)
03
사업 추진 및 모니터링
프로그램 운영 지원 및 전문가 모니터링
04
프로그램 공유회
성과 공유 및 우수 프로그램 선정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지역문화진흥원 원장상
생활문화센터는 생활문화 확산을 위한 거점공간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생활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습니다.
생활문화센터의 활성화 기반 마련과 자생력 증진을 위하여 2014년부터 누적 참여 센터 142개소가 참여하였으며 프로그램 예산 확대를 통해 지역 맞춤형 프로그램을 시행하였습니다.(총 누적 지원규모 1,854,002천원) 또한 지역 상황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추진과 유형을 발굴하기 위하여 공동체 형성・강화 프로그램, 생활문화 콘텐츠 개발 프로그램, 사회적 가치 확산 프로그램 등을 통해 주민참여 생활문화 프로그램을 추진하였습니다.
구분 | 참여 센터 수(개) | 프로그램 | 프로그램(개) | 운영(회) | 지원규모(천원) |
---|---|---|---|---|---|
2019 | 31 |
|
73 | 769 | 440,000 |
2018 | 22 |
|
57 | 476 | 209,929 |
2017 | 13 |
|
65 | 241 | 126,844 |
2016 | 9 |
|
25 | 82 | 64,887 |
2015 | 42 |
|
45 | 181 | 574,242 |
2014 | 25 |
|
29 | 125 | 438,100 |
합계 | 142 | 294 | 1,874 | 1,854,002 |
구분 | 사업명 | 일정/장소 | 대상 | 공유회내용 |
---|---|---|---|---|
2019 |
|
청주생활문화센터 |
(운영자 및 관계자 총 45명 참여) |
|
※ 2015~2018년까지는 생활문화센터 운영자 역량강화 및 네트워킹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전체 생활문화센터 운영자 대상으로 추진하였으나 2019년에는 프로그램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참여 센터 운영자 대상으로 진행
지역 환경에 적합한 생활문화 프로그램 운영과 주민 이용 활성화 지원을 통해 지역 내 생활문화 거점 플랫폼으로써 생활문화센터 활성화를 도모하였습니다.
주민을 위한 공간 운영, 프로그램 기획, 이용객 대상 서비스 증진 등 생활문화센터 운영인력의 전문성을 높이고자 운영자 대상 역량강화 교육을 추진합니다. 이를 통해 각 지역에 조성된 생활문화센터가 서로의 운영 경험, 정보, 사례들을 공유하여 생활문화센터 운영이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합니다.
사업명 | 생활문화센터 운영자 역량강화 교육 |
---|---|
추진시기 | 2020년 하반기 중(※코로나19 확산 추이에 따라 추진시기 조정) |
추진방식 | 통합교육 |
대상 | 개관 및 개관예정 생활문화센터 운영 담당자 및 지자체 공무원 |
내용 |
|
생활문화 정책의 개념 및 생활문화센터의 역할과 기능에서부터 센터의 운영실무 분야까지, 생활문화센터 운영자 역량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을 추진하였으며, 이를 통한 생활문화센터 활성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 생활문화센터 운영 활성화 지원사업이 시작된 2014년에는 컨설팅과 병행 추진되었습니다.
구분 | 사업명 | 일정/장소 | 대상 | 교육내용 |
---|---|---|---|---|
2019 |
|
부산 수영구 생활문화센터 외 |
|
|
2018 |
|
경상: 부산 아르피나 전라: 전주 영화호텔수도 강원: 강릉 한국여성수련원 충청: 서천 문헌서원 |
(총 52개 센터 운영자 및 관계자 88명 참가) |
|
|
서울 도봉숲속마을 |
(총 43개 센터 운영자 및 관계자 64명 참가) |
|
|
|
대학로 예술가의 집 다목적홀 |
|
|
|
2017 |
|
KT대전인재개발원 |
(총 38개 센터 운영자 48명 참가) |
|
|
4개권역 4회 진행 대구유아행복연구소(부산/대구/울산/경북) 삼천문화의집 생활문화센터(전라/광주) 경기 생활문화센터(서울/인천/경기/강원) 청주 생활문화센터(대전/세종/충청) |
(총 28개 센터 및기관 관계자 31명 참가) |
|
|
|
백범김구기념관 컨벤션홀 |
|
|
|
2016 |
|
페럼타워 페럼홀 |
(총 96개 센터 및 기관 관계자 145명 참가) |
|
2015 |
|
총 5개 권역, 5회 교육 추진 전주(전라/광주권) 거창(경남/부산/울산권) 성주(서울/대구/경북권) 수원(경기/강원) 서산(대전/충청/인천/제주) |
(총 52개 센터 운영자 110명 참가) |
|
|
문화역서울284RTO |
(총 52개 센터 운영자 110명 참가) |
|
생활문화센터 네트워킹은 운영자간의 정보교환, 지역 및 센터별 특성에 따른 실질적 운영방안의 탐색 등 센터 활성화를 위한 자발적 논의 플랫폼 구축을 위해 운영자간 네트워킹을 지원합니다.
구분 | 사업명 | 기간 | 지원사업(개) | 지원규모(천원) | 사업내용 |
---|---|---|---|---|---|
2017 |
|
|
5 | 25,000 |
|
2016 |
|
|
8 | 49,716 |
|
생활문화센터 현황파악, 사업평가, 공간 아카이빙 등 생활문화센터 및 생활문화정책에 대한 의미와 성과를 분석하고 앞으로 방향과 전략을 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제작하고 공유합니다.
발행연도 | 제목 | 종류 |
---|---|---|
2019 | 생활문화센터 조성 길잡이(개정판) | 매뉴얼 |
생활문화센터 운영 가이드북(개정판) | 매뉴얼 | |
2019 생활문화센터 운영 활성화 프로그램 사례집 | 사례집 | |
2018 | 2018 생활문화센터 운영 실태조사 | 연구보고서 |
2018 생활문화센터 디렉토리북 <공간에서 모이고, 공감으로 만나다> | 사례집 | |
2017~2018 개관 생활문화센터 공간 안내서 <공간, 공감> | 공간안내서 | |
생활문화시설 지원 정책 효율화 방안 연구 | 연구보고서 | |
2017 | 2017 생활문화센터 실태조사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서 |
2017 생활문화센터 조성 길잡이 | 매뉴얼 | |
2016 | 2016 생활문화센터 디자인 가이드북(생활문화센터BI활용가이드) | 매뉴얼 |
2016 생활문화센터 공간 가이드북 | 공간안내서 | |
2015 | 2015 생활문화센터 공간조성 및 운영 안내서(2014년 개정판) | 매뉴얼 |
2015 생활문화센터 공간 가이드북 | 공간안내서 | |
생활문화센터 운영 활성화 지원 사업 성과평가연구 | 연구보고서 | |
2014 | 생활문화센터 조성 지원 사업 전략컨설팅 방안 연구 | 연구보고서 |
생활문화센터 공간조성 가이드북 | 매뉴얼 | |
생활문화센터 운영 가이드북 | 매뉴얼 |